이용방법
[FOB 조건/해상LCL 수입] 수출지 항구에서부터 소량화물을 해상수입하는 경우
안녕하세요, 디지털 수입물류 포워딩 서비스 - 쉽다(SHIPDA)입니다.
소량화물을 FOB 조건으로 수입하시게 될 경우 쉽다 서비스를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지, 어떤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지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:)
- FOB 조건이란? 영어 그대로 해석하면 FREE(자유롭다) + ON(~위의) + BOARD(선박의 한 면)의 합성어입니다. 뜻을 합쳐 인코텀즈의 형태로 해석하자면 수출자가 상품을 생산한 뒤 해당 물건을 '선박의 한 면'에 내려두면(자유롭게 두면) 업무가 끝난다'는 의미입니다.
따라서 수입기업은 수출자의 항구에서부터 운송을 책임져야 하는 업무 범위(엄밀하게는 상품이 선박에 선적되었을 때)가 할당되게 됩니다. 즉, 수출자 항구에서부터 수입자가 운송을 책임지고 상품을 수입해야 한다는 의미인데요. 이 때, 운송을 위해 '쉽다'와 같은 포워딩(국제물류주선인)에게 업무를 의뢰하게 됩니다.
크게 수입에 대한 대금은 '상품원가 / 물류비 / 관부가세'로 이루어지는데요. FOB 조건으로 협의 되었다면 물류비를 산출하기 위해 '수출자(판매자)'에게 문의 후 '포워더'에게 전달해야 할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.
[수출자에게 문의할 내역]
포장된 화물의 부피/중량/수량
해외 출발지 항구명
[수입자가 확인할 내역]
국내 경유지 항구명
최종도착지 국내 주소
위 4가지 정보를 포워더에게 전달하시면 됩니다. 쉽다를 이용하시면 번거로운 이메일 / 유선 문의가 아니라 온라인 상으로 견적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.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:)
[아래와 같이 수입함을 가정해보겠습니다.]
해외 출발지 항구명: Shanghai port, CHINA
포장된 화물의 부피/중량/수량: 100*50*50cm, 20kg - 1BOX, 총 15BOXES
아이템명: 의류
국내 경유지 항구명: 인천항
최종도착지 국내 주소: 서울시 종로구 종로 6 5층 (주) 셀러노트
컨테이너 1대 공간을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, 일부 공간을 사용하는 LCL 방법(소량화물 해상수입)을 통해 진행하십니다. 쉽다에서는 소량화물 수입 시, 중간유통 단계를 제거하는 특화 서비스인 '오션티켓'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( URL: https://www.ship-da.com/oceanticket )
[STEP 1] 출발지 국가/유형/항구
(1) 출발지 국가: 중국에서 화물을 수입하기에 '출발지 국가'는 '중국'을 선택합니다.
(2) 출발지 유형: FOB 조건으로 '쉽다'에게 수출지 항구에서부터 업무를 의뢰해야 하기에 '항구'를 선택합니다.
(3) 출발지 항구: 예시로 가정된 '상해항'을 선택합니다.
※ 출발지 항구의 경우, 수출자가 주로 이용하는 항구를 문의하신 후 선택하시면 됩니다. 수출자에게 해외 출고지 주소를 문의한 후 구글맵 등에서 가장 가까운 항구를 확인하신 후 검색 및 선택하시면 됩니다. (쉽다 측에서 이후 출고지 주소를 확인하고 가장 최적의 항구로 정정합니다.)
[STEP 2] 도착지 유형/도착지 주소
(1) 도착지 선택: 국내 항구까지만 의뢰를 원하시면 '항구'를 최종도착지까지 운송의뢰를 희망하시면 '내륙'을 선택합니다. (본 사례에서는 최종도착까지 의뢰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진행합니다.)
(2) 도착지 주소(시/군/구): 시/군/구 단위로 도착지를 검색합니다.
(3) 상세주소: 시/군/구 이하의 상세 주소를 입력합니다.
(4) 경유지항구: 경유지 항구를 선택합니다. 최종도착지에서 가장 가까운 항구로 선택하시면 됩니다.
[STEP 3] 화물정보/내륙운송유형/체크포인트/필요사항
(1) 화물정보 입력방법: 포장별과 총 부피/중량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. 해당 정보는 수출자로부터 확인하시면 됩니다. 수출자는 개별 박스마다의 부피/중량으로 정보를 안내할 수도 있고, 개별 박스의 총합의 부피/중량을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.
- 포장별 입력: 개별 박스마다의 부피/중량을 안내받았다면 포장별 입력을 선택합니다.
- 총 부피/중량 입력: 개별 박스의 총합 부피/중량을 안내받았다면 총 부피/중량 입력을 선택합니다.
FOB 조건의 경우 둘 중 편한 방법으로 입력하셔도 좋습니다.
(2) 품명: 수입하시는 상품명을 입력합니다.
(3) 포장타입: 상품을 포장한 형태를 선택합니다. 주로 박스 혹은 파렛트로 진행합니다.
(4) 부피: 개별 박스의 부피를 가로*세로*높이로 입력합니다.
(5) 중량: 개별 박스의 중량을 입력합니다.
(6) 포장 수량: 개별 박스의 수량을 입력합니다.
(7) 위험물: 해당 화물이 위험물인지 여부를 선택합니다. 내가 수입하는 화물이 위험물인지 아닌지 잘 모르신다면 '아니오'로 선택하셔서 신청하시면 됩니다.
(8) 2단 적재: 내 포장된 화물 위에 '타 화물'을 적재해도 되는지에 대한 여부입니다. 일반적으로는 '가능'합니다. 깨지기 쉬운 상품인 경우 '불가'로 선택하시면 됩니다.
(1) 내륙운송 유형: 입력하신 화물의 부피/중량에 맞는 최저가 운송수단이 자동 선택됩니다.
(2) 체크포인트: 쉽다가 제시하는 표준 값으로 기재되었으며 변경이 불가합니다.
(3) 통관업무의뢰: 수입통관을 진행할 '관세사'를 별도 지정하지 않았을 경우, 쉽다 파트너 관세사를 통해 업무를 처리합니다.
(4) 적하보험가입: 보험가입이 필요한 경우 신청합니다.
(5) FTA 원산지증명서 대행발급: 수출자가 FTA C/O를 발급하기 어려운 경우, 쉽다 측에 대행을 의뢰합니다.
[STEP 4] 견적확인/주의사항 확인/업무의뢰
(1) 동의: 견적 및 주의사항을 확인 후 체크 박스를 누릅니다. FOB 조건의 경우 시스템에서 즉각적으로 확정견적 조회가 가능합니다.
(2) 상세견적다운: 견적서 형태로 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(3) 티켓 발급: 업무의뢰를 진행합니다.
[STEP 5] 수출자 정보입력
포워더 '쉽다'가 수출자와 컨택을 진행하여 운송을 처리하기 위해 정보를 수취하여 입력해주세요.
※ 주의: 수입자(구매자) 정보가 아닌, 해외 수출자(판매자) 정보를 입력하셔야 합니다.
(1) 불러오기: 동일 수출자와 진행한 이력이 있을 경우, 불러오기를 통해 쉽게 입력 가능합니다.
(2) 완료: 정보를 모두 입력한 후 완료 버튼을 누릅니다.
위와 같이 FOB 조건에서 쉽다에게 의뢰하기 위한 필요정보와 입력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:) 이후 동일 수출자(판매자)에게 상품을 구매하실 때에는 위 절차를 생략하고 운송완료 탭에서 '재주문' 버튼을 누르면 처리 가능합니다.
